문정인 (정치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정인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국제정치 전문가이다. 제주 출생으로 연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켄터키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명예 특임교수이다. 햇볕정책의 주창자이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햇볕정책》, 《동아시아의 미래》 등이 있으며, 2017년 문재인 정부의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을 역임했다. 과거 행담도 스캔들, 아들 국적 포기 문제, 일본 재단 관련 논란 등에 연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현중학교 동문 - 강창일
강창일은 1952년 제주 출생으로 서울대 국사학과 졸업 후 도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 1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지냈으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일 관계 개선에 힘썼고 旭日大綬章을 수훈, 독도 및 위안부 관련 발언에 대한 논란도 있는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다. - 오현중학교 동문 - 현경대
현경대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검사 출신으로 1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5선 의원을 지냈으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총장,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제주 지역구에서 활동했다. - 제주북초등학교 동문 - 박충훈
박충훈은 대한민국 제3공화국에서 상공부 장관과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고, 국무총리 직무대리와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했으며 2001년에 사망했다. - 제주북초등학교 동문 - 양창수 (법조인)
양창수는 1952년 제주에서 태어난 법조인이자 법학자로, 서울대 법대 교수로서 민법 연구에 기여하고 대법관으로 사회적 약자 보호에 힘썼으나,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장 시절 공정성 논란으로 사퇴했다. - 오현고등학교 동문 - 안진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안진범은 미드필더로, FC 안양에 입단하여 울산 현대, 인천 유나이티드, 상주 상무, 성남 FC 등에서 활동했으며 U-17 대표팀 경력과 K리그 데뷔골 기록, 그리고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출연한 이력이 있다. - 오현고등학교 동문 - 강창일
강창일은 1952년 제주 출생으로 서울대 국사학과 졸업 후 도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 1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지냈으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일 관계 개선에 힘썼고 旭日大綬章을 수훈, 독도 및 위안부 관련 발언에 대한 논란도 있는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다.
문정인 (정치학자)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문정인 |
한자 | 文正仁 |
출생일 | 1951년 3월 25일 |
출생지 | 제주시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사 | 연세대학교 |
석사 | 메릴랜드 대학교 |
박사 | 메릴랜드 대학교 |
경력 | |
소속 기관 | 연세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듀크 대학교 |
주요 활동 분야 | 정치학 국제 관계 한국 정치 및 정치 경제 동아시아 국제 정치 |
주요 역할 | 문재인 대통령의 통일, 외교, 안보 특별 보좌관 |
알려진 업적 | 국제 관계 및 동아시아 안보 문제에 대한 전문성 |
기타 |
2. 생애
문정인은 제주도 제주시 출신으로, 연세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한 정치학자이다. 1978년 미국으로 건너가 학위를 마친 후, 윌리엄스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켄터키 대학교를 거쳐 1994년 모교인 연세대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2016년 정년퇴임 때까지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4]
60권이 넘는 저서와 300편 이상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평화학회 회장, 북미국제학회(ISA)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학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세계 경제 포럼(다보스 포럼)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우드로 윌슨 국제센터 공공정책학술상, 베이징 대학 릭시안 장학금,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분교 태평양 리더십 펠로우십 등을 수상했다. 특히 1, 2차 남북정상회담에 특별수행원으로 모두 참석한 유일한 학자로, 한반도 평화 문제에 깊이 관여해 왔다.[5]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본관은 남평이며, 제주도 제주시 출생이다. 제주북초, 오현중·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연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 켄터키 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윌리엄스 대학교, 듀크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분교 등에서 방문교수를 지냈다. 일본 게이오 대학과 중국 북경대학 국제관계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1984년 윌리엄스 대학교에서 첫 강의를 시작했고, 1985년 켄터키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1994년까지 재직했다. 1994년 모교인 연세대학교로 돌아와 2016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강의를 했다.[4]2. 2. 학술 활동
제주도 제주시 출신으로, 제주북초, 오현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는 10여 년간 켄터키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직했다. 윌리암스대학교, 듀크 대학,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애고 분교 등에서 방문교수를 지냈고, 일본 게이오 대학과 중국 북경대학 국제관계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4]''[http://www.palgrave.com/kr/book/9789811049767 The Future of East Asia]''(Palgrave-Macmillan, 2018), ''[https://www.amazon.com/Denuclearization-Korean-Peninsula-Yonsei-University/dp/896850136X/ref=sr_1_1?ie=UTF8&qid=1515547855&sr=8-1&keywords=Denuclearization+and+peace+on+the+Korean+Peninsula Denucleariz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Yonsei University Press, 2015), ''[https://web.archive.org/web/20180110174422/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37834462 다보스 이야기]''(와이즈배리 2014), ''[https://web.archive.org/web/20180110174349/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BOK00019576744BA 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한국판 삼성경제연구소 2013년, 중국판 사회과학원 문헌출판사 2017), ''[https://www.amazon.com/Sunshine-Policy-Chung-Moon/dp/8997578421/ref=sr_1_1?s=books&ie=UTF8&qid=1515547968&sr=1-1&keywords=The+Sunshine+Policy The ''Sunshine Policy'']''(Yonsei University Press, 2012년), ''[https://web.archive.org/web/20180110174319/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76334251 중국의 내일을 묻다]''(한국판 삼성경제연구소 2010년, 중국판 세계지식출판사 2012년), ''[https://www.amazon.com/Bridging-Divide-Moon-Jae-Ins-Korean-Initiative/dp/8968503680/ref=sr_1_6?dchild=1&keywords=chung-in+moon&qid=1630905428&rnid=2941120011&s=books&sr=1-6 Bridging the Divide-Moon Jae-In's Korean Peace Initiative]''(Yonsei University Press, 2019년), ''[https://www.amazon.com/Routledge-Handbook-Korean-Politics-Administration/dp/1138959863/ref=sr_1_5?dchild=1&keywords=chung-in+moon&qid=1630892423&rnid=2941120011&s=books&sr=1-5 Routledge Handbook of Korean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Routledge, 2020년),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35213450&orderClick=LEa&Kc= 문정인의 미래 시나리오]''(청림출판 2021년) 등 60권의 국•영문 저서와 편저, ''World Politic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World Development'' 등 국제 저명 학술지와 각종 논문집에 300여 편의 학술 논문을 게재했다.[5]
SSCI에 등재된 12개의 국제저명 학술지의 편집위원이며, 미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과 한국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의 교수 요원으로서 본 포럼의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바 있다. 미국 [https://www.wilsoncenter.org/ Woodrow Wilson Center]로부터 공공정책학술상 (1999년), 북경대학으로부터 Lixian Scholarship (2009년), 캘리포니아 대학-샌디에고로부터 Pacific Leadership Fellowship (2010년)을 수여받았다. 1, 2차 남북정상회담에 특별수행원으로 참석한 유일한 학자이다.[5]
3. 주요 활동 및 정책 관여
문정인은 햇볕정책의 주창자로 알려져 있으며, 대화와 협상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주장하는 대화론자이다.[15]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그를 '자주파의 거두' 또는 한미동맹에 비판적인 진보학자로 규정하기도 한다.[16]
그는 대한민국 정부의 국가안전보장회의, 외교통상부, 국방부, 통일부, 국가정보원 등 여러 기관의 자문을 맡았으며,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대통령직속 국가정보개혁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직속 국방개혁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또한 2000년과 2007년에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특별 대표로 참석했다.[6]
3. 1. 김대중·노무현 정부
문정인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외교통상부, 국방부, 통일부, 국가정보원 등 여러 정부 기관의 자문을 역임했다.[6]1998년부터 2003년까지 김대중 대통령 자문을 역임했으며,[7] 2000년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특별 대표로 참석했다.[6]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노무현 대통령 자문을 역임했으며,[7] 대통령직속 국가정보개혁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직속 국방개혁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6] 또한, 외교통상부 국제안보대사와 대통령직속 동북아시아협력구상위원회 위원장(국무급)을 역임했다. 2007년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도 특별 대표로 참석했다.[6]
3. 2. 문재인 정부
문정인은 대북 화해협력 정책으로 알려진 햇볕정책의 주창자로 알려져 있다.[15] 또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대화론자이기도 하다.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문정인을 ‘자주파의 거두’ 또는 한미동맹에 비판적인 대표적 진보학자로 규정하고 있다.[16] 특히 2017년 6월 16일 워싱턴 우드로 윌슨 센터 강연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 중단과 한미연합 군사훈련의 규모축소 또는 잠정 중단’을 주장, 한국에서 커다란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17] 그리고 북한 지도부에 대한 ‘참수’ 용어 사용에 반대, 송영무 국방장관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18] 2017년 6월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으로 문정인은 외교안보 정책 논쟁의 중심에 서 왔다.3. 3. 기타 활동
문정인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외교통상부, 국방부, 통일부, 국가정보원 등 대한민국 정부 여러 기관의 자문을 역임했다.[6] 노무현 정부 시절 대통령직속 국가정보개혁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직속 국방개혁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00년과 2007년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특별 대표로 참석했으며,[6] 태평양세기연구소, 아시아연구기금, 한국평화포럼의 이사회 멤버이자 세계경제포럼 한국의 미래에 관한 글로벌 어젠다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6]1998년부터 2003년까지 김대중 대통령,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노무현 대통령의 자문을 역임했고,[7]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외교통상부 국제안보대사와 대통령직속 동북아시아협력구상위원회 위원장(국무급)을 역임했다.
4. 햇볕정책과 대북관
문정인은 대북 화해협력 정책으로 알려진 햇볕정책의 주창자로 알려져 있다.[15] 또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대화론자이기도 하다.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문정인을 ‘자주파의 거두’ 또는 한미동맹에 비판적인 대표적 진보학자로 규정하고 있다.[16] 특히 2017년 6월 16일 워싱턴 우드로우 윌슨 센터 강연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 중단과 한미연합 군사훈련의 규모축소 또는 잠정 중단’을 주장, 한국에서 커다란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17] 그리고 북한 지도부에 대한 ‘참수’ 용어 사용에 반대, 송영무 국방장관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18]
문정인은 햇볕정책의 설계자 중 한 명이며, 북한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이 정책의 부활을 옹호하고 촉구한다.[8] 제재와 압력, 군사 행동, 봉쇄, 평양 정권의 붕괴를 기다리는 것을 포함한 다른 모든 선택이 실패했다고 믿는다. 특히 조지 W. 부시(George W. Bush) 전 대통령의 행정부를 비난하며, 2008년에 정책이 취소되기 전에 일부 초기 성공을 거두었던 햇볕정책의 효과를 방해했다고 주장한다.[2][9]
5. 논란
문정인은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 정책 및 사상 관련 논란: 햇볕정책의 주창자이자 대화론자인 문정인은 한미동맹에 비판적인 진보학자로 평가받기도 한다.[16] 2017년 우드로 윌슨 센터 강연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 중단과 한미연합 군사훈련 축소 또는 중단을 주장해 논란이 되었다.[17]
- 행담도 스캔들: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 시절 행담도 개발 관련 지원 의향서 발급으로 공문서위조죄 기소되었으나,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19]
- 아들 국적 포기 논란: 아들 문기현의 국적 포기 문제가 병역 기피 의혹으로 보도되었으나,[20] 법무부와 병무청은 1998년 미국 국적 취득과 동시에 한국 국적이 상실되어 병역 기피가 아니라고 밝혔다.[20]
- 일본 재단 관련 논란: 연세대학교 재직 시절, 태평양 전쟁 A급 전범 용의자였던 사사카와 료이치가 세운 일본재단의 출연금 등으로 설립된 아시아연구기금의 이사장직을 역임했다.
5. 1. 정책 및 사상 관련 논란
문정인은 대북 화해협력 정책으로 알려진 햇볕정책의 주창자로 알려져 있다.[15] 또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대화론자이기도 하다.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문정인을 ‘자주파의 거두’ 또는 한미동맹에 비판적인 대표적 진보학자로 규정하고 있다.[16] 특히 2017년 6월 16일 워싱턴 우드로우 윌슨 센터 강연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 중단과 한미연합 군사훈련의 규모축소 또는 잠정 중단’을 주장, 한국에서 커다란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17] 그리고 북한 지도부에 대한 ‘참수’ 용어 사용에 반대, 송영무 국방장관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18] 2017년 6월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으로 문정인은 외교안보 정책 논쟁의 중심에 서 왔다.문정인은 햇볕정책의 설계자 중 한 명이며, 북한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이 정책의 부활을 옹호하고 촉구한다.[8] 제재와 압력, 군사 행동, 봉쇄, 평양 정권의 붕괴를 기다리는 것을 포함한 다른 모든 선택이 실패했다고 믿는다. 특히 조지 W. 부시(George W. Bush) 전 대통령의 행정부를 비난하며, 2008년에 정책이 취소되기 전에 일부 초기 성공을 거두었던 햇볕정책의 효과를 방해했다고 주장한다.[2][9]
2018년 4월 외교 문제(Foreign Affairs)에 기고한 글에서 문정인은 남북 평화 협정 채택 후 미군의 한국 주둔을 계속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다.[10] 2018년 인터뷰에서 장기적으로 한국에 유리한 것은 미-한 동맹을 폐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1] 2019년 4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가 개최한 국제회의에서 “만약 주한미군이 북한의 비핵화 없이 한국에서 철수한다면, 중국이 한국에 핵우산을 제공하고 그 상태에서 북한과 협상하는 것이 어떨까요?”라는 가상 질문을 중국에 던졌다.[12] 한겨레에 기고한 칼럼에서 문정인은 한국이 미국과의 동맹보다 북한과의 경제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믿는다.[13]
5. 2. 행담도 스캔들
문정인은 '행담도 스캔들'로 논란의 중심에 선 바 있다. 2004년 9월경 당시 외국인 투자를 총괄하는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이었던 문정인은 싱가포르 투자 회사인 행담도 개발(주)의 김재복 사장에게 행담도 개발 2단계 사업 추진 관련 지원 의향서를 발급하였다. 검찰은 이 지원 의향서에 허위가 있다며 문정인과 당시 동북아시대위원회 기조실장이었던 정태인을 공문서위조죄로 기소하였다. 그러나 법원 1, 2심은 물론 대법원에서도 이 지원 의향서에 대해 단순히 자신의 '의견'을 게재한 '추천서'라고 판단하여 최종 무죄를 판결하였다.[19]그 과정에서 문정인의 아들 문기현의 국적 포기 문제가 불거졌다. 당시 언론은 문기현이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2005년 1월에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에 한국 국적 포기를 한 것으로 보도하여 큰 논란을 야기했다. 그러나 이 보도가 나오자 법무부와 병무청은 문기현이 1998년 미국 국적 취득과 동시에 한국 국적을 이미 상실했기 때문에 2005년 1월에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국적 포기를 했다고 볼 수는 없다는 입장문을 발표하였다. 당시의 기사는 문기현이 98년에 이미 포기한 국적을 2005년 1월에 신고한 것인데 이를 2005년에 포기한 것으로 잘못 보도한 것이다.[20]
5. 3. 아들 국적 포기 논란
문정인의 아들 문기현의 국적 포기 문제가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언론은 문기현이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2005년 1월에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에 한국 국적 포기를 한 것으로 보도하여 큰 논란을 야기했다.[20] 그러나 법무부와 병무청은 문기현이 1998년 미국 국적 취득과 동시에 한국 국적을 이미 상실했기 때문에 2005년 1월에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국적 포기를 했다고 볼 수는 없다는 입장문을 발표하였다. 당시 기사는 문기현이 1998년에 이미 포기한 국적을 2005년 1월에 신고한 것인데, 이를 2005년에 포기한 것으로 잘못 보도한 것이다.[20]5. 4. 일본 재단 관련 논란
문정인은 연세대학교가 태평양 전쟁 A급 전범 용의자였다가 불기소 처분된 사사카와 료이치가 세운 일본재단의 출연금과 한국 독지가들의 기부금을 기반으로 설립한 아시아연구기금의 이사장직을 역임한 바 있다.6. 저서
- The Korean economy in transition: political consequences of neoconservative reforms|한국 경제의 전환: 신보수주의 개혁의 정치적 결과영어 (1988), 듀크대학교 아시아태평양 연구소.
-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Domestic Perceptions, Regional Dynamics, International Penetrations|한반도의 군비통제: 국내적 인식, 지역 역학, 국제적 개입영어 (1996), 연세대학교출판부, ISBN 978-89-7141-412-5.
- Air power dynamics and Korean security|공중전력 역학과 한국 안보영어 (1999년 8월 8일), 연세대학교출판부, ISBN 978-89-7141-474-3.
- The Sunshine Policy|햇볕정책영어 (2012), 연세대학교출판부, ISBN 978-89-7141-479-8.
- Exploring the Future of China|중국의 미래를 탐구하다영어 (2010년 한국어판, 2012년 중국어판).
- 《제3세계 양자외교의 정치경제: 사우디아라비아-한국 관계, 1973-1983》 (1984), 메릴랜드 대학교.
- The U.S. and the Defense of the Pacific|미국과 태평양 방위영어 (1989), 웨스트뷰 프레스, ISBN 978-0-8133-7917-3. (로널드 드 맥로린과 공저)
- National Security of the Third World: Manag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Threats|제3세계의 국가 안보: 내부 및 외부 위협의 관리영어 (1988), 에드워드 엘거, ISBN 9781852780791. (에드워드 E. 아자르와 공저)
- Transition to Export-Led Growth in Korea, 1954-66|한국 수출 주도 성장으로의 이행, 1954-66영어 (1990), 세계은행 출판부. (스테판 해거드, 김병국과 공저)
- The Kim Dae-jung Government and Sunshine Policy: Promises and Challenges|김대중 정부와 햇볕정책: 약속과 과제영어 (1999), 연세대학교출판부, ISBN 978-89-7141-493-4. (데이비드 I. 스타인버그와 공저)
- Understanding Korean Politics: An Introduction|한국 정치 이해하기: 소개영어 (2001년 6월 14일), SUNY 프레스, ISBN 978-0-7914-4889-2. (승흠 Kil과 공저)
- The Perry Report, Missile Dilemma, and the North Korean Question|페리 보고서, 미사일 딜레마, 그리고 북한 문제영어 (2000), 연세대학교출판부, ISBN 978-89-7141-508-5. (오코노기 마사오, 미첼 라이스와 공저)
- The United States and Northeast Asia|미국과 동북아시아영어 (2008), 로우먼&리틀필드. (존 아이켄베리와 공저)
- 東アジア共同体: アイデアと論争|동아시아 공동체: 아이디어와 논쟁일본어 (2010년 일본어 및 한국어), 게이오 대학 출판부. (오코노기 마사오와 공저)
- 日本は今何を考えているのか|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일본어 (2013년 한국어, 2017년 중국어). (서승원과 공저)
- The Future of East Asia|동아시아의 미래영어 (2017), 팔그레이브-맥밀란. (피터 헤이즈와 공편)
참조
[1]
웹사이트
Chung-in Moon
https://thebulletin.[...]
2018-01-04
[2]
웹사이트
Co-Convenor
http://www.a-pln.org[...]
2017-05-02
[3]
웹사이트
Impact Player: Moon Chung-in
https://www.csis.org[...]
CSIS
2018-01-04
[4]
웹사이트
Past Directors
https://cis.yonsei.a[...]
CIS
2018-01-04
[5]
웹사이트
Moon Chung - in
https://www.worldpol[...]
2014-11-04
[6]
웹사이트
Moon Chung-In
https://www.weforum.[...]
2018-01-04
[7]
웹사이트
The Sunshine Policy: In Defense of Engagement as a Path to Peace in Korea
https://www.foreigna[...]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7-06-29
[8]
웹사이트
Review of Chung-in Moon The Sunshine Policy
http://s-space.snu.a[...]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2017-06-29
[9]
웹사이트
Engagement in an Age of Division: Moon Chung-in's Sunshine Policy
http://sinonk.com/20[...]
2017-06-29
[10]
웹사이트
A Real Path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foreigna[...]
2018-04-30
[11]
웹사이트
A Top Adviser to the South Korean President Questions the U.S. Alliance
https://www.theatlan[...]
2018-05-17
[12]
웹사이트
President Moon advisor: "What if we entrust our national security to China?"
http://www.arirangin[...]
2019-12-04
[13]
웹사이트
[Column] If you want peace, prepare for peace
http://english.hani.[...]
2020-07-13
[14]
뉴스
문정인 통일외교안보특보, 이론·실무 겸비 국제정치학자(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1-10
[15]
뉴스
The Sunshine Policy: In Defense of Engagement as a Path to Peace in Korea
https://web.archive.[...]
Foreign Affairs
2018-01-10
[16]
뉴스
北 손짓만 했을 뿐인데… "한미동맹 불필요" "군사훈련 중단" 쏟아내는 文의 멘토들
http://news.chosun.c[...]
2018-01-10
[17]
뉴스
'美전략자산·한미연합훈련 축소' 가능성 문정인 발언 논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1-10
[18]
뉴스
송영무 "문정인, 학자 입장에서 떠들어…개탄스럽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1-10
[19]
뉴스
'행담도 의혹' 문정인 무죄ㆍ정태인 유죄
https://web.archive.[...]
hankyung.com
2018-01-10
[20]
뉴스
문정인씨 아들 1월 국적상실 신고
http://news.khan.co.[...]
2018-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